유좌지기(宥坐之器)
컨텐츠 정보
- 5,075 조회
- 2 댓글
- 목록
본문
유좌지기(宥座之器)
宥(용서할 유), 坐(앉을 좌), 之(어조사 지), 器(그릇 기).
기기(敧器)는 유좌(宥坐)의 기(器)라고도 한다. 
            
            
         속이 비면 기울어지고 물이 반쯤 담으면 똑바로 서며 가득 담으면 넘어져서 쏟아지는 그릇이다. 
               
               
            그러므로 옛날에는 군자의 옆에 두어 모자라지도 지나치지도 않게 마음을 단속하는 상징으로 삼았다. 
                  
                    
                     
                     
                  
               공자가어(孔子家語)에 이르기를 
                        
                        
                     "유좌(宥佐)의 기(氣)가 허(虛)하면 기울어지고 넣으면 바르고 가득차면 엎어진다. 
                             
                              
                              
                           
                        훌륭한 임금은 이로서 지성(至誡)를 삼으니 
                                 
                                 
                              그러므로 항상 이것을 왼쪽에 둔다"고 했다. 
                                    
                                      
                                       
                                       
                                    
                                 공자는 늘 곁에 두고 보는 유좌지기(宥坐之器)란 그릇을 
                                          
                                          
                                       마음속에 항상 지니고 다니고 있었는데, 
                                             
                                               
                                                
                                                 
                                                 
                                                
                                             
                                          그것은 공자가 일찍이 평소에 존경하던 주나라 환공의 사당에 갔을 때 
                                                   
                                                   
                                                사당 안에 있던 의기(儀器)를 발견했던 데서 비롯되었다. 
                                                      
                                                        
                                                         
                                                         
                                                      
                                                   “이것은 무엇을 하는 그릇입니까.” 공자가 묻자 사당지기가 대답하였다. 
                                                            
                                                            
                                                         “늘 곁에 두고 보는 유좌지기입니다.” 
                                                               
                                                               
                                                            이 말을 들은 공자는 고개를 끄덕이며 말을 하였다. 
                                                                  
                                                                    
                                                                     
                                                                     
                                                                  
                                                               ‘나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유좌지기는 속이 비면 기울어지고 가득 채우면 엎질러진다고 했지요. 
                                                                           
                                                                           
                                                                        오직 적당히 차야만 바로 서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로부터 공자의 마음속에는 평형을 유지하는 유좌지기가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가득 차면 엎질러지고 비면 기울어짐으로써 
                                                                                 항상 중용을 유지해야만 바로 서는 마음의 그릇을 통해 
                                                                                 공자는 지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은 중용을 도의 극치로 삼고 가르치고 있었다.
                                                                                 ----------------------------------------------------
                                                                                 攲器以滿覆 撲滿以空全(기기이만복 박만이공전) 
                                                                                    
                                                                                    
                                                                                 기기는 가득 차면 엎질러지고 박만은 비면 온전하다. 
                                                                                       
                                                                                       
                                                                                          
                                                                                               
                                                                                                
                                                                                                
                                                                                             
                                                                                          
                                                                                       
                                                                                    故君子寧居無 (고군자영거무) 
                                                                                                   
                                                                                                   
                                                                                                그러므로 군자는 차라리 무(無)에 살지언정 유(有)에 살지 않는다. 
                                                                                                      
                                                                                                      
                                                                                                      
                                                                                                   不居有寧處缺 不處完 (거유영처결 불처완) 
                                                                                                            
                                                                                                             
                                                                                                            
                                                                                                         이지러진 곳에 처할 지언정 완전한 곳에 있지 않는다. 
                                                                                                            1) 기기(敧器)/ 옛날 명군이 자리의 오른 쪽에 두어 경계(警戒)로 삼은 그릇. 
                                                                                                               
                                                                                                               
                                                                                                            속이 비었을 때 기울어지고 물을 반쯤 채우면 바로서고, 
                                                                                                                  
                                                                                                                  
                                                                                                               가득 채우면 엎어지게 만들었다. 
                                                                                                                     
                                                                                                                     
                                                                                                                          
                                                                                                                           
                                                                                                                           
                                                                                                                        
                                                                                                                     
                                                                                                                  2) 박만(撲滿)/ 흙으로 빚은 저금통. 
                                                                                                                              
                                                                                                                              
                                                                                                                           윗 면에 돈을 넣는 구멍이 있는데 가득차게 되면 통이 깨지게 된다. 
                                                                                                                                 
                                                                                                                                  
                                                                                                                                  
                                                                                                                                  
                                                                                                                                  
                                                                                                                                 
                                                                                                                              그러므로 통은 비어 있을 때 온전하게 된다. (채근담63) 
                                                                                                                                 관련자료
			댓글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