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에 대한 이해


군자(君子)의 인간상

컨텐츠 정보

본문

 군자(君子)의 인간상


1.   "군자는 두루 사랑하고 편애하지 않으며, 소인은 편애하고 두루 사랑하지 않는다."

子曰 "君子周而不比, 小人比而不周."(爲政)


2.  "군자는 섬기기는 쉬워도 기쁘게 하기는 어렵다. 기쁘게 하기를 도로써 하지 않으면 기뻐하지 않으며, 사람을 부림에 있어서는 그 사람의 그릇에 따라 한다. 소인은 섬기기는 어려워도 기쁘게 하기는 쉽다. 기쁘게 하기를 비록 도에 맞게 하지 않더라도 기뻐하며, 사람을 부림에 있어서는 다 갖추기를 요구한다."   子曰 "君子易事而難說也. 說之不以道, 不說也, 及其使人也, 器之. 小人難事而易說也. 說之雖不以道, 說也. 及其使人也, 求備焉."(子路)


3.   "군자는 덕을 생각하고 소인은 처하는 곳을 생각하며, 군자는 모범을 생각하고 소인은 혜택을 생각한다."  子曰 "君子懷德, 小人懷土. 君子懷刑, 小人懷惠."(里仁)


4.  "군자는 의를 밝히고 소인은 이익을 밝힌다."   子曰 "君子喩於義, 小人喩於利."(里仁)


5  "군자는 평탄하여 여유가 있고, 소인은 늘 걱정스러워 한다."子曰 "君子坦蕩蕩, 小人長戚戚."(述而)


6.   "군자는 태연하되 교만하지 않고, 소인은 교만하되 태연하지 못하다."

子曰 "君子泰而不驕, 小人驕而不泰."(子路)


7.  "군자는 큰 문제에 통달하고, 소인은 작은 문제에 통달한다." 子曰

 "君子上達, 小人下達."(憲問)


8.  "군자는 남의 아름다움을 이루어주고 남의 악을 조장하지 않는데, 소인은 이와 반대이다."

子曰 "君子成人之美, 不成人之惡. 小人反是."(顔淵)


9.  "군자는 화합하되 뇌동하지 않으며, 소인은 뇌동하되 화합하지 않는다.

子曰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子路)


10. "군자는 한 가지 목적으로 쓰여지는 그릇이 아니다." 

子曰 "君子不器."(爲政)



11. "군자는 말을 어눌하게 하고, 실천에는 민첩하고자 한다."

子曰 "君子 欲訥於言, 而敏於行."(里仁)


12. 공자께서 자산을 두고 평하셨다. "군자의 도가 네 가지 있었으니, 그의 몸가짐이 공손하며, 윗사람을 섬길 때는 공경스러우며, 백성을 양육할 때는 은혜로우며, 백성을 부릴 때에는 의로웠다."

子謂子産. "有君子之道四焉. 其行己也恭, 其事上也敬, 其養民也惠, 其使民也義."(公冶長)



13.  "군자는 아홉 가지 생각함이 있다. 볼 때에는 분명함을 생각하며, 들음에는 총명함을 생각하며, 얼굴빛은 온화함을 생각하며, 모습은 공손함을 생각하며, 말은 진실함을 생각하며, 일을 할 때는 공경함을 생각하며, 의심스러울 때는 물을 것을 생각하며, 분할 때는 어려움이 닥칠 것을 생각하며, 이득을 보면 바른 것인가를 생각한다."

孔子曰 "君子有九思. 視思明, 聽思聰, 色思溫, 貌思恭, 言思忠, 事思敬, 疑思問, 忿思難, 見得思義."(季氏)


14. 자하가 말하였다. "소인들은 허물이 있으면 반드시 꾸며서 합리화한다."

子夏曰 "小人之過也, 必文."(子張)


15. 군자유삼계( 君子有三戒 ) : 군자가 경계해야 할 세가지 일. “젊었을 때는 색욕을 경계하고 장년기에는 다툼을 경계하고 노년기에는 탐욕을 경계해야 한다.”


16. 군자유삼외( 君子有三畏 ) : 군자가 갖는 세 가지의 두려움. “군자는 천명을 두려워하고 대인을 두려워하며, 성인의 말씀을 두려워한다.”


17. 군자삼락( 君子三樂 ) : 군자의 세 가지 낙. “군자는 부모가 다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교육하는 것을 즐거워한다.”


18. 군자유오(君子有惡) : 군자가 미워하는 것. “군자는 남의 잘못을 떠들어대는 것을 미워하고,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훼방하는 것을 미워하고, 용맹하기만 하고 예절을 가리지 못하는 것을 미워하고,  과감하면서 막힌 것을 미워한다. "


19. 도리불언 하자성혜( 桃李不言 下自成蹊 ) : “봉숭아와 오얏은 꽃이 곱고 열매가 맛있어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 절로 길이 난다.” 굳이 세를 규합하지 않아도 현인 군자에게는 절로 사람이 모이게 된다.


20. 대변여눌( 大辯如訥 ) : “대군자의 말은 이치에 합당하므로, 듣기에는 어눌한 듯하나 실지로는 훌륭한 변설이다. ”


21. 군자표변( 君子豹變 ) : “군자의 언행은 표범의 무늬처럼 선명하게 변한다.” 군자는 잘못을 깨달으면 곧바로 분명하게 고친다.


22.군자교담약수( 君子交淡若水 ) : “군자의 사귐은 욕심이 없고 깨끗하여 물을 마시는 것과 같이 변하지 않는다. ”


23. 교절불출오성( 交絶不出惡聲 ) : “군자는 교제를 끊은 후에도 그 나쁜 점을 말하지 않는다.”


24. “바람이 성긴 대숲에 오매 바람이 지나가면 대에 소리가 머무르지 않고 기러기가 차가운 못을 지나매 기러기 가고 난 다음에 못에 그림자가 머무르지 않나니, 그러므로 군자는 일이 생기 면 비로소 마음에 나타나고 일이 지나고 나면 마음도 따라서 비나니라.”

風來疎竹 風過而竹不留聲 雁度寒潭 雁去而潭不留影 故 君子 事來而心始現 事去而心隨空 (菜根譚)


25. “뜻을 굽혀서 남에게 기쁨을 얻기보다는 내 몸의 행실을 곧게 하여 남의 미움을 받음이 차라리 나으리라.”      


曲意而使人喜 不若直躬而使人忌 (菜根譚)

 

 

 

 

 

의식상승힐링샵 바로가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2 / 7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

최근글


새댓글